교과목해설
home
> 교육과정
> 교과목해설
교과목해설
U101145 한국어듣기(Listen to Korean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학습하는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 내용 중 특히 듣기 학습을 통하여 한국어로 하는 의사소통에서 상대방의 한국어를 정확하게 듣고 이해하는 학습을 한다.
U100508 한국어말하기(Korean Speaking
한국어표현교육법의 교육을 바탕으로 상황별 대화, 발표문 읽기, 주제문 말하기, 토론 등을 하면서 말하기의 역량을 제고한다.
U101146 한국어읽기(Korean Reading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학습하는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 내용 중 특히 읽기 학습을 통하여 한국어로 표현된 여러 문서나 책자를 정확하게 읽고 그 의미를 이해하는 학습을 한다.
U100507 한국어글쓰기(Korean Writing
한국어표현교육법의 교육을 바탕으로 직접 수필, 일기, 감상문 등을 쓰면서 쓰기영역의 역량을 제고한다.
U101143 미디어한국어(Media Korean
우편, 신문, 방송, 유튜브 등을 통해 보는 영상, 그 영상을 찍는 기술, 사람 등 미디어 매체를 통해 한국어로 정보 전달의 역할을 수행 한다.
U101144 AI를활용한한국어교수법(Korean Teaching Method Using AI
인공지능 기술을 한국어교육에 효과적으로 접목할 수 있는 교수법을 다룬다.
U101147 TOPIK의이해(Understanding Topik
한국어능력시험으로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외국인이나 재외동포를 대상으로 하는 시험을 TOPIK이라한다. 외국인 유학생들에게 토픽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알려준다.
U100486 국어학개론(Outline of Korean Linguistics
한국어의 특성들을 잘 이해하기 위하여, 음운론, 통사론, 의미론 등 한국어의 특성을 개괄하고, 공시적, 통시적 연구 방법에 따라 한국어에 대한 기초적 지식을 함양한다.
U101148 통번역한국어(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Korean
통번역의 중요한 점은 문자 그대로 옮기는 것이 아닌 다른 언어로 옮겨졌을 때, 그 언어의 문법, 어법, 의미에 맞게 전달하는 과정이다. 두 가지 언어 실력을 기르고 한국어 번역을 한다.
U100488 한국어어문규범(Korean Linguistics & Literature Norm
한글맞춤법, 표준어규정, 외래어표기법 등 한국어 어문 규정 전반을 이해하여 표준 한국어를 규범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데 목적을 둔다.
U100510 한국어교육개론(Outline of Korean Education
언어 교육에 관한 여러 이론들을 탐색하고, 이러한 이론적 지식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한국어교육 방안을 수립한다.
U100497 한국어어휘교육법(Practice in Korean Lexicology
한국어 어휘에 대한 구체적인 교육 원리와 교육 방법 등을 탐구한다.
U100487 언어학개론(Outline of Korean Linguistics
보편언어가 갖는 소리와 구조, 그리고 의미에 대한 공통성과 개별언어가 갖는 특성을 비교함으로서 언어의 본질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U100509 한국어문법론(Korean Grammar
한국어 형태론과 통사론 전반에 걸친 이론과 규칙을 체계적으로 익힌다.
U100498 한국의전통문화(Korean Traditional Culture
한구의 전통문화를 이해하고 이를 한국어 교육에 적용하여 외국인들에게 한국 문화를 이해시키는 방안을 탐구한다.
U100495 한국어표현교육법(말하기, 쓰기)(Instruction In Korean Speaking & Writing
말하기, 쓰기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어 표현을 숙달시키기 위한 효과적인 교육방법을 이해하고 체득할 수 있도록 한다.
U100490 한국어발음교육론(Practice in Korean Pronunciation
한국어 음운에 관한 여러 이론을 탐색하고, 이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한국어 발음 지도방안을 다각도로 살핀다.
U100494 한국어이해교육법(듣기, 읽기)(Instruction In Korean Speaking & Listening
듣기, 읽기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어 이해력을 향상시키는 교육방법을 익히고, 이들 교육방법론을 교육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U100489 외국어습득론(Theories of Second Language Acquisition
외국어 습득을 복합적인 측명을 이해하고 습득과정에 따른 이론들을 탐구한다.
U100497 한국어문법교육론(Practice in Korean Grammar
한국어 어휘형태를 기초로 하여 통사구조를 파악하고 SOV 언어가 갖는 특성을 이해함으로서 한국어 습득과 활용에 중점을 두고 한국어 교육 방법론을 터득하게 한다.
U100515 응용언어학(Applied Linguistics-Multimedia for Korean Language Teaching
컴퓨터와 인터넷이 생활, 학문, 산업의 각 부문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시대 조류 속에서 한국어 교육과 관련된 정보처리의 주요 원리와 내용을 이해하도록 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U100492 한국문학개론(Introduction of Korean Literature
한국문학을 연구하는 여러 이론을 익히고, 시, 소설 등 실제 한국 문학 작품들을 읽고 감상함으로써 한국문학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U100511 한국어의미론(Korean Semantics
표현과 의미 사이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의미론의 다양한 특성을 이해하고, 음성과 구조가 의미와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파악하게 한다.
U100493 한국문화교육론(Practice in Korean Culture
한국어 교육에 문화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한국어 습득을 위한 문화 교육 방안을 찾는다.
U100496 언어교수이론(Language Teaching methods
교사에게 필수적인 기본자질을 갖출 수 있도록 교실 수업에 입각한 언어 교수 방법 및 지도 요령을 습득하여 교수방법상 언어 교수 방법을 종합, 분석할 수 있는 기초 소양을 갖추도록 한다.
U100514 한국문학의이해(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한국 문화의 본질과 의미를 파악함으로써, 한국인이 어떤 사회 문화적 존재인지를 알고, 한국의 사회.문화적 현실을 인식함으로써 한국인과 한국 문화를 총체적으로 이해한다.
U100512 현대한국사회(Modern Society
현대의 한국사회의 전반에 걸친 이해를 위해 현대 정치, 사회, 문화, 종교, 역사 등을 교육하고 현대 한국사회를 파악하게 한다.
U100513 한국어평가론(Evaluation Merhods of Korean Proficiency
한국어 교육현장에서 실제로 가르친 결과에 대해 무엇을 평가해야 하고 어떻게 정확한 판단을 할수 있는지와 관련된 기본적인 개념을 비롯하여 평가의 다양한 기술을 체계적으로 정리한다.
U100499 한국어번역론(Korean Translation Theory
번역에 관한 기본 이론들을 습득하고, 한국어를 외국어로 번역하기 위한 효율적인 방법론을 익히고 실제 번역에서 제기되는 문제점을 이해하고 올바른 번역 기술을 익힌다.
U100500 한국어교육실습(Practicum
실제 강의 현장에서 외국인을 대상으로 직접 한국어 교육을 해 봄으로써 한국어 교사로서 역할을 원활이 수행할 수 있는 자질을 함양한다.